2015년 CONCACAF 골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공동 개최된 제13회 CONCACAF 골드컵이다. 2015년 7월에 개최되었으며, 멕시코가 결승전에서 자메이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는 총 14개의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치렀다. 멕시코는 7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회 이후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심판 판정 논란, 쿠바 선수들의 망명, 대회 조직 문제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CONCACAF 골드컵 -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는 2014년 9월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코스타리카가 우승하여 2016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출전 자격을 얻었다. - 2015년 CONCACAF 골드컵 - 2014년 카리브컵 예선
2014년 카리브컵 예선은 총 26개 팀이 참가하여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쿠바와 자메이카는 각각 우승팀과 개최국 자격으로 결선 라운드에 자동 진출하였다. - 2015년 캐나다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캐나다에서 개최된 FIFA 여자 월드컵의 일곱 번째 대회이며, 미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첼리아 샤시치와 칼리 로이드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 2015년 캐나다 - 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
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된 종합 스포츠 대회로, 41개국이 참가하여 36개 종목에서 경쟁을 펼쳤으며,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지만 예산 초과 등의 논란도 있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캐나다에서 개최된 FIFA 여자 월드컵의 일곱 번째 대회이며, 미국이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첼리아 샤시치와 칼리 로이드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6년 FIFA 월드컵
2026년 FIFA 월드컵은 캐나다, 멕시코, 미국이 공동 개최하며, 참가국이 48개국으로 확대되어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2015년 CONCACAF 골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CONCACAF 골드컵 |
연도 | 2015년 |
다른 명칭 | Coupe d'Or CONCACAF 2015 |
![]() | |
개최국 | 캐나다, 미국 |
대회 기간 | 7월 7일 – 7월 26일 |
참가 팀 수 | 12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14 |
도시 수 | 14 |
결과 | |
우승 팀 | 멕시코 |
우승 횟수 | 7 |
준우승 팀 | 자메이카 |
3위 팀 | 파나마 |
4위 팀 | 미국 |
총 경기 수 | 26 |
총 득점 수 | 62 |
총 관중 수 | 1,090,396 |
득점왕 | 클린트 뎀프시 (7골) |
최우수 선수 | 안드레스 과르다도 |
최우수 골키퍼 | 브래드 구잔 |
영 플레이어 상 | 헤수스 코로나 |
페어플레이 상 | 자메이카 |
대회 통계 | |
경기당 득점 | 2.38 |
경기당 관중 수 | 41,938 |
이전/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13년 |
다음 대회 | 2017년 |
2. 대회 방식
2015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최되었다. 미국 13개 경기장, 캐나다 1개 경기장으로 총 14개의 경기장이 사용되었다.[1]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 경기장 수용 인원 비고 이스트러더퍼드 (뉴욕)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82,566명 결선 토너먼트 샬럿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74,455명 예선 C조 애틀랜타 조지아 돔 74,228명 결선 토너먼트 볼티모어 M&T 뱅크 스타디움 71,008명 결선 토너먼트 필라델피아 링컨 파이낸셜 필드 69,176명 결승전 체스터 (필라델피아) PPL 파크 18,500명 3,4위전 폭스버러 (보스턴) 질레트 스타디움 68,756명 예선 A조 시카고 솔저 필드 63,500명 예선 C조 글렌데일 (피닉스)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63,400명 예선 C조 카슨 (로스앤젤레스) 스텁헙 센터 30,510명 예선 B조 휴스턴 BBVA 컴패스 스타디움 22,039명 예선 B조 프리스코 (댈러스) 도요타 스타디움 20,500명 예선 A조 캔자스시티 스포팅 파크 18,467명 예선 A조 토론토 BMO 필드 30,000명 예선 B조
CONCACAF는 2014년 12월 16일에 개최 도시와 경기장을 발표했다.[1]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결승전이, 체스터의 PPL 파크에서 3·4위전이 개최되었으며,[9] 나머지 12개 경기장에서는 두 경기씩 열렸다.
3. 1. 경기장 목록
2015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최되었다. 미국 13개 경기장, 캐나다 1개 경기장으로 총 14개의 경기장이 사용되었다.[1]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비고 |
---|---|---|---|
이스트러더퍼드 (뉴욕)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82,566명 | 8강전 |
샬럿 |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 74,455명 | C조 |
애틀랜타 | 조지아 돔 | 74,228명 | 준결승 |
볼티모어 | M&T 뱅크 스타디움 | 71,008명 | 8강전 |
필라델피아 | 링컨 파이낸셜 필드 | 69,176명 | 결승전 |
체스터 (필라델피아) | PPL 파크 | 18,500명 | 3·4위전 |
폭스버러 (보스턴) | 질레트 스타디움 | 68,756명 | A조 |
시카고 | 솔저 필드 | 63,500명 | C조 |
글렌데일 (피닉스) |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 | 63,400명 | C조 |
카슨 (로스앤젤레스) | 스텁헙 센터 | 30,510명 | B조 |
휴스턴 | BBVA 컴패스 스타디움 | 22,039명 | B조 |
프리스코 (댈러스) | 도요타 스타디움 | 20,500명 | A조 |
캔자스시티 | 스포팅 파크 | 18,467명 | A조 |
토론토 | BMO 필드 | 30,000명 | B조 |
CONCACAF는 2014년 12월 16일에 개최 도시와 경기장을 발표했다.[1]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결승전이, 체스터의 PPL 파크에서 3·4위전이 개최되었으며,[9] 나머지 12개 경기장에서는 두 경기씩 열렸다.
이스트러더퍼드 | 샬럿 | 애틀랜타 | 볼티모어 | 필라델피아 |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 조지아 돔 | M&T 뱅크 스타디움 | 링컨 파이낸셜 필드 |
수용 인원: 82,566명 | 수용 인원: 74,455명 | 수용 인원: 74,228명 | 수용 인원: 71,008명 | 수용 인원: 69,176명 |
![]() | ![]() | |||
폭스버러 | {{Center| | 시카고 | ||
질레트 스타디움 | 솔저 필드 | |||
수용 인원: 68,756명 | 수용 인원: 63,500명 | |||
![]() | ![]() | |||
글렌데일 | 카슨 | |||
피닉스 대학교 스타디움 | 스텁허브 센터 | |||
수용 인원: 63,400명 | 수용 인원: 30,510명 | |||
![]() | ![]() | |||
휴스턴 | 토론토 | 프리스코 | 체스터 | 캔자스시티 |
BBVA 콤파스 스타디움 | BMO 필드 | 토요타 스타디움 | PPL 파크 | 라이브스트롱 스포팅 파크 |
수용 인원: 22,039명 | 수용 인원: 30,000명 | 수용 인원: 20,500명 | 수용 인원: 18,500명 | 수용 인원: 18,467명 |
![]() | ![]() | ![]() | ![]() |
4. 예선
총 12개 팀이 이 대회에 진출했다. 3장의 티켓은 북아메리카에, 4장은 중앙 아메리카에, 4장은 카리브해에 배정되었다. 사상 처음으로 카리브 지역과 중앙 아메리카 지역의 종합 5위 팀 두 팀이 CONCACAF 골드컵의 마지막 티켓을 놓고 경쟁했다. 이전에는 5장의 티켓이 중앙 아메리카에, 4장이 카리브해에 할당되었다.[10]
팀 | 예선 통과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이전 최고 성적 | FIFA 랭킹 |
---|---|---|---|---|---|
북아메리카 | |||||
(TH) | 자동 진출 | 13번째 | 2013 | 우승 (1991, 2002, 2005, 2007, 2013) | 27 |
자동 진출 | 13번째 | 2013 | 우승 (1993, 1996, 1998, 2003, 2009, 2011) | 23 | |
자동 진출 | 12번째 | 2013 | 우승 (2000) | 109 | |
중앙 아메리카는 2014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를 통해 예선 통과 | |||||
우승 | 12번째 | 2013 | 준우승 (2002) | 14 | |
준우승 | 10번째 | 2011 | 4위 (1996) | 93 | |
3위 | 7번째 | 2013 | 준우승 (2005, 2013) | 54 | |
4위 | 9번째 | 2013 | 8강 (2002, 2003, 2011, 2013) | 89 | |
카리브해는 2014 카리브컵을 통해 예선 통과 | |||||
우승 | 9번째 | 2011 | 3위 (1993) | 65 | |
준우승 | 9번째 | 2013 | 3위 (2000) | 67 | |
3위 | 6번째 | 2013 | 8강 (2002, 2009) | 76 | |
4위 | 8번째 | 2013 | 8강 (2003, 2013) | 107 | |
플레이오프 승자 (카리브 지역 5위와 중앙 아메리카 지역 5위 간) | |||||
플레이오프 | 12번째 | 2013 | 준우승 (1991) | 75 |
'''굵게''' 표시된 팀은 대회를 개최한 팀을 나타냅니다.
4. 1. 중앙아메리카-카리브 제도 플레이오프
2014년에 열린 카리브컵과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에서 각각 5위를 차지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경기에서 이긴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3-4 | 3-1 | 0-3 |
1차전은 2015년 3월 25일 카옌에서, 2차전은 2015년 3월 29일 산페드로술라에서 열렸다. 프랑스령 기아나와 온두라스의 경기에서 토르빅과 프리바(프랑스령 기아나)와 벤튼(온두라스)이 득점하였다. 나하르와 로사노는 온두라스에서 득점하였다.
'''온두라스'''가 합계 4-3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4. 2. 본선 진출국
2015년 CONCACAF 골드컵에는 총 1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공동 개최국, 자동 진출), 멕시코(자동 진출), 캐나다(공동 개최국, 자동 진출) 3개 팀이 진출했다. 미국은 13번째 본선 진출로, 1991년, 2002년, 2005년, 2007년, 2013년 대회에서 우승한 기록이 있다. 멕시코 역시 13번째 본선 진출이며, 1993년, 1996년, 1998년, 2003년, 2009년, 2011년 대회에서 우승했다. 캐나다는 12번째 본선 진출로, 2000년 대회에서 우승한 바 있다.중앙아메리카에서는 2014년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를 통해 4개 팀이 진출했다. 코스타리카 (우승), 과테말라 (준우승), 파나마 (3위), 엘살바도르 (4위)가 그 주인공이다. 코스타리카는 12번째 본선 진출로,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과테말라는 10번째 본선 진출이며, 1996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파나마는 7번째 본선 진출로, 2005년과 201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엘살바도르는 9번째 본선 진출이며, 2002년, 2003년, 2011년, 2013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카리브 제도에서는 2014년 카리브컵을 통해 4개 팀이 진출했다. 자메이카 (우승), 트리니다드 토바고 (준우승), 아이티 (3위), 쿠바 (4위)가 본선에 진출했다. 자메이카는 9번째 본선 진출로, 1993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역시 9번째 본선 진출이며, 2000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아이티는 6번째 본선 진출로, 2002년과 2009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쿠바는 8번째 본선 진출이며, 2003년과 2013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마지막 한 자리는 중앙아메리카 5위와 카리브 제도 5위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온두라스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합류했다. 온두라스는 12번째 본선 진출이며, 1991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시작 시점 FIFA 랭킹은 미국이 27위, 멕시코가 23위, 캐나다가 109위, 코스타리카가 14위, 과테말라가 93위, 파나마가 54위, 엘살바도르가 89위, 자메이카가 65위,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67위, 아이티가 76위, 쿠바가 107위, 온두라스가 75위였다.
5. 선수 명단
2015년 6월 7일 전에 35명의 선수로 구성된 예비 명단을 CONCACAF에 제출해야 했다. 2015년 6월 27일까지 23명의 선수로 구성된 최종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 최종 명단에 포함된 선수 중 3명은 골키퍼여야 했다.[11] 최종 명단에 포함된 선수들은 1번부터 23번까지의 유니폼을 착용해야 하며, 1번은 골키퍼에게 배정되었다.
8강 진출팀은 최대 6명의 선수를 교체할 수 있었다. 교체 선수는 예비 명단에 이름을 올려야 하며, 24번부터 29번 사이의 유니폼을 받게 된다.
최종 명단에 포함된 부상 선수는 해당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 24시간 전까지 예비 명단에 있는 다른 선수로 교체할 수 있었다.
6. 시드 배정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은 2014년 12월 16일에 2015년 CONCACAF 골드컵의 시드 배정을 발표했다.[1] 미국은 A조, 코스타리카는 B조, 멕시코는 C조에 각각 시드 배정되었다.[1] 나머지 팀들의 시드는 2014년 11월 27일 FIFA 랭킹을 기준으로 배정되었다.[12][65][66]
시드국 | 비시드국 |
---|---|
valign="top"| | valign="top"| |
2015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조 추첨 및 전체 일정은 2015년 3월 12일에 발표되었다.[9][67]
7. 조별 리그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이 8강전에 진출했다. 모든 경기는 동부 일광 절약 시간 (EDT)을 기준으로 한다.
각 조에서 각 팀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조별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모든 조별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해당 팀 간의 조별 경기에서 얻은 승점
# 골드컵 위원회에 의한 추첨[11]
경기 시간은 모두 개최지 시간이다.
조별 리그는 12개 팀을 1조 4팀으로 나누어 1차전 총 6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A조'''
2015년 CONCACAF 골드컵 A조에서는 미국, 아이티, 파나마, 온두라스가 경기를 치렀다. 미국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아이티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파나마는 3무를 기록하며 조 3위, 온두라스는 1무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7일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도요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파나마와 아이티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미국은 온두라스를 상대로 뎀프시의 2골에 힘입어 2-1 승리를 거두었다.
2015년 7월 10일 매사추세츠주 폭스버러의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온두라스와 파나마는 1-1 무승부를, 미국은 아이티를 상대로 뎀프시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015년 7월 13일 캔자스주 캔자스시티의 스포팅 파크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아이티는 온두라스를 1-0으로 꺾었고, 파나마와 미국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B조'''
B조에서는 자메이카가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코스타리카가 3무(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와 캐나다는 각각 2무 1패(승점 2점)로 탈락했다.
2015년 7월 8일 스텁헙 센터(카슨)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코스타리카와 자메이카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코스타리카는 밀러와 라미레스가 득점했고, 자메이카는 매클리어리와 맥아너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엘살바도르와 캐나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2015년 7월 11일 BBVA 컴패스 스타디움(휴스턴)에서 열린 경기에서 자메이카는 오스틴의 결승골로 캐나다를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열린 코스타리카와 엘살바도르의 경기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는데, 코스타리카는 B. 루이스가 득점하고, 엘살바도르는 코레아가 추가 시간에 득점했다.
2015년 7월 14일 BMO 필드(토론토)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자메이카는 매클리어리의 골로 엘살바도르를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열린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C조'''
2015년 CONCACAF 골드컵 C조에서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멕시코, 쿠바, 과테말라가 경쟁했다. 조별 리그는 2015년 7월 9일부터 2015년 7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첫 경기에서 3-1로 승리했고, 2015년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경기에서는 2-0으로 승리했다. 2015년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난타전 끝에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쿠바와의 첫 경기에서 6-0 대승을 거두었으나, 2015년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쿠바는 1승 2패(승점 3점)로 조 3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2015년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첫 경기에서 0-6으로 대패했으나, 2015년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2015년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과테말라는 1무 2패(승점 1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015년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첫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고, 2015년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다.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2015년 CONCACAF 골드컵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11]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1) 승점, 2) 득실차, 3) 다득점, 4) 추첨 순으로 결정되었다. 그 결과, A조 3위 파나마와 C조 3위 쿠바가 8강전에 진출했다.[11]
7. 1. A조
2015년 CONCACAF 골드컵 A조에서는 미국, 아이티, 파나마, 온두라스가 경기를 치렀다. 미국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아이티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파나마는 3무를 기록하며 조 3위, 온두라스는 1무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7월 7일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도요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파나마와 아이티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미국은 온두라스를 상대로 뎀프시의 2골에 힘입어 2-1 승리를 거두었다.
7월 10일 매사추세츠주 폭스버러의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온두라스와 파나마는 1-1 무승부를, 미국은 아이티를 상대로 뎀프시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7월 13일 캔자스주 캔자스시티의 스포팅 파크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아이티는 온두라스를 1-0으로 꺾었고, 파나마와 미국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7. 2. B조
B조에서는 자메이카가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코스타리카가 3무(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엘살바도르와 캐나다는 각각 2무 1패(승점 2점)로 탈락했다.2015년 7월 8일 스텁헙 센터(카슨)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코스타리카와 자메이카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코스타리카는 밀러와 라미레스가 득점했고, 자메이카는 매클리어리와 맥아너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엘살바도르와 캐나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2015년 7월 11일 BBVA 컴패스 스타디움(휴스턴)에서 열린 경기에서 자메이카는 오스틴의 결승골로 캐나다를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열린 코스타리카와 엘살바도르의 경기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는데, 코스타리카는 B. 루이스가 득점하고, 엘살바도르는 코레아가 추가 시간에 득점했다.
2015년 7월 14일 BMO 필드(토론토)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자메이카는 매클리어리의 골로 엘살바도르를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열린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7. 3. C조
2015년 CONCACAF 골드컵 C조에서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멕시코, 쿠바, 과테말라가 경쟁했다. 조별 리그는 2015년 7월 9일부터 7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차지했다.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첫 경기에서 3-1로 승리했고,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경기에서는 2-0으로 승리했다.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난타전 끝에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쿠바와의 첫 경기에서 6-0 대승을 거두었으나,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쿠바는 1승 2패(승점 3점)로 조 3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첫 경기에서 0-6으로 대패했으나,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테말라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과테말라는 1무 2패(승점 1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9일 시카고의 솔저 필드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첫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고, 7월 12일 글렌데일의 유니버시티 오브 피닉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15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다.
7. 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2015년 CONCACAF 골드컵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11]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A | 파나마 | 3 | 0 | 3 | 0 | 3 | 3 | 0 | 3 | 8강전 진출 |
C | 쿠바 | 3 | 1 | 0 | 2 | 1 | 8 | -7 | 3 | 8강전 진출 |
B | 엘살바도르 | 3 | 0 | 2 | 1 | 1 | 2 | -1 | 2 | 조별 예선 탈락 |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1) 승점, 2) 득실차, 3) 다득점, 4) 추첨 순으로 결정되었다. 그 결과, A조 3위 파나마와 C조 3위 쿠바가 8강전에 진출했다.[11]
8. 결선 토너먼트
'''8강전'''
2015년 7월 18일, 미국은 볼티모어의 M&T 뱅크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8강전에서 클린트 뎀프시의 해트트릭과 기야시 자르데스, 아론 요한슨, 오마르 곤살레스의 득점에 힘입어 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자메이카는 자일스 반스의 결승골로 아이티를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7월 19일,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는 두 경기가 열렸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파나마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파나마가 6-5로 승리했다. 멕시코는 코스타리카와의 경기에서 연장 후반 안드레스 과르다도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4강에 합류했다.
'''4강전'''
2015년 7월 22일, 조지아 돔(애틀란타)에서 4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 70,511명의 관중이 입장한 가운데, 첫 번째 경기에서는 자메이카가 미국을 2-1로 꺾었다. 자메이카의 매턱스와 반스가 전반전에 연속골을 넣었고, 미국은 후반전에 브래들리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파나마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파나마의 R. 토레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멕시코의 과르다도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면서, 멕시코의 결승 진출을 이끌었다. 이는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에 길이 남을 명승부로 기록되었다.
'''3·4위전'''
2015년 7월 25일 현지 시각 16시, PPL 파크(체스터)에서 2015년 CONCACAF 골드컵 3·4위전이 열렸다. 미국과 파나마가 맞붙었으며, 널스가 55분에 선제골을, 뎀프시가 70분에 동점골을 기록하여 연장전까지 진행되었다. 연장전에서 추가 득점 없이 승부차기가 진행되었고, 파나마가 미국을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승부차기에서 파나마는 R. 토레스, 아로요, 커밍스가 성공하고, 쿠퍼가 실축했다. 미국은 요한슨과 뎀프시가 성공하고, 존슨, 브래들리, 비즐리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온두라스 출신 오스카 몬카다가 맡았으며, 12,598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결승전'''
2015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2015년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자메이카와 멕시코가 맞붙었으며, 68,93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다. 주심은 엘살바도르 국적의 호엘 아귈라르가 맡았다.
경기 결과 멕시코가 과르다도, 코로나, 페랄타의 연속골에 힘입어 매턱스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친 자메이카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8. 1. 8강전
2015년 7월 18일, 미국은 볼티모어의 M&T 뱅크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8강전에서 클린트 뎀프시의 해트트릭과 기야시 자르데스, 아론 요한슨, 오마르 곤살레스의 득점에 힘입어 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자메이카는 자일스 반스의 결승골로 아이티를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7월 19일,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는 두 경기가 열렸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파나마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파나마가 6-5로 승리했다. 멕시코는 코스타리카와의 경기에서 연장 후반 안드레스 과르다도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4강에 합류했다.
8. 2. 4강전
2015년 7월 22일, 조지아 돔(애틀란타)에서 4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 70,511명의 관중이 입장한 가운데, 첫 번째 경기에서는 자메이카가 미국을 2-1로 꺾었다. 자메이카의 매턱스와 반스가 전반전에 연속골을 넣었고, 미국은 후반전에 브래들리가 한 골을 만회했다.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파나마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파나마의 R. 토레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멕시코의 과르다도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
8. 3. 3·4위전
2015년 7월 25일 현지 시각 16시, PPL 파크(체스터)에서 2015년 CONCACAF 골드컵 3·4위전이 열렸다. 미국과 파나마가 맞붙었으며, 널스가 55분에 선제골을, 뎀프시가 70분에 동점골을 기록하여 연장전까지 진행되었다. 연장전에서 추가 득점 없이 승부차기가 진행되었고, 파나마가 미국을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승부차기에서 파나마는 R. 토레스, 아로요, 커밍스가 성공하고, 쿠퍼가 실축했다. 미국은 요한슨과 뎀프시가 성공하고, 존슨, 브래들리, 비즐리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온두라스 출신 오스카 몬카다가 맡았으며, 12,598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8. 4. 결승전
2015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에서 2015년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자메이카와 멕시코가 맞붙었으며, 68,93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다. 주심은 엘살바도르 국적의 호엘 아귈라르가 맡았다.경기 결과 멕시코가 과르다도, 코로나, 페랄타의 연속골에 힘입어 매턱스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친 자메이카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9. 우승
멕시코
7번째 우승